국가별유학정보
해외 유학/어학연수정보
생활정보
숙소종류
홈스테이(Homestay)
미국 가정집에서 미국인 식구들과 같이 생활하며 그들의 문화와 가치관 등을 경험할 수 있으며, 학교 수업 이외에도 가정생활을
통해 살아 있는 영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한 집에 보통 두 명의 학생을 두고 있으며 아침과 저녁 두 끼를 제공하며
개인 독방을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Application 신청 시 Housing에 대해 Homestay로 신청하면 학교 측에서 학생의 신청서를 Homestay agency에 보내고 Agency에서는 미국인 가정과 학생을 연결시켜 줍니다. 신청서를 보내면 Homestay agency에서는 학교 측과는 별도로 학생과 연결된
미국 가정에 대한 소개서와 연락처에 대한 정보를 보내줍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조금씩 있으나 한 달에 평균 $500-$600선이며, Agency에 소개비로 한 학기당 평균 $200을 줍니다. 계약은
한 학기 단위로 하고 있습니다.
학교 기숙사(Campus Housing)
거의 모든 미국 대학들과 대학교들은 학생들에게 기숙사(residence hall 또는 dormitory; dorms라고도 부름)에서 거주 할
수 있는 선택권을 줍니다. 선택한 학교로부터 입학 허가서(acceptance letter)를 수령하면 되도록 빠른 시간에 기숙사 신
청서를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기숙사를 신청할 때에는 Application의 Housing 신청란에 Campus Housing으로 신청하고 신청에
필요한 일정량의 Deposit을 내야 합니다. 보통 학기 시작 2-3일 전에 열고 학기가 끝나면 2~3일 후 문을 닫기 때문에
일찍 미국에 도착하는 경우 학교 기숙사를 열 때까지 학교 근처의 숙박시설을 이용해야 합니다.
기숙사는 2인 1실이 보통이고 독방은 가격이 더 비쌉니다. 샤워실과 화장실은 공동으로 사용하며 식사는 보통 학교 식당에서
먹습니다. 또한 기숙사 안에 학생들을 위하여 냉장고, 가스 렌지, 마이크로웨이브 등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기숙사 청소나 이불 등은 학교에서 청소해주고 개인 빨래는 학교 Laundry에서 동전을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숙
사 생활의 가장 큰 단점은 방학이나 휴가일 경우 문을 닫는다는 것입니다. 만일 기숙사에 남아 있으려면 돈을 추가로 내야
합니다. 기숙사비는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보통 한 학기당 $2,000 정도입니다.
아파트(apartments)
아파트는 지역에 따라 가격이 많이 다르며 대학에서 제공하는 아파트의 경우 가격이 저렴합니다. 아파트 임대 비용은 월세
방식이며 가격은 지역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원룸 형식인 스튜디오 아파트와 방 2개 이상의 아파트 등 다양하게 고를 수가 있는데 집세를 조금 아끼려면 룸메이트와 함께 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Private Apartment의 알선을 하지 않으나, 별도의 자료 요청서를 신청하면 학교 측에서 학교 근처의
아파트에 대한 정보를 보내 주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한국 유학생의 경우 첫 학기는 학교 돔이나 미국인 가정에 살다가 두
번째 학기부터 아파트로 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파트는 비싼 편이라 개인이 혼자 부담하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명이
함께 살면서 같이 부담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파트 렌트 비용은 위치와 크기에 따라서 가격 차가 큽니다. 보통은 한 달에 $250~$1,000선 입니다. 한 아파트에 보통 2~3
명이 같이 살면서 전기료 전화비 등을 함께 나누어 내고, 아파트 계약 시에는 대표자 한 명이 계약해야 하며 계약 보증금(Deposit)을 내야 합니다. 보증금은 보통 1~2달 치 집세를 냅니다. 이 보증금은 계약이 만료될 때 집에 훼손이 있을 경우
를 대비하여 집주인이 맡아두는 돈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집주인이 보증금을 다 돌려주지 않을 수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 시내 중심부 아파트(방 1개): 1,167.39 $
· 시내 외곽 아파트(방 1개): 900.99$
· 시내 중심부 아파트(방 3개): 1,919.14 $
· 시내 외곽 아파트(방 3개): 1,470.87 $
프래터니티 및 소라리티 하우스(Fraternity and sorority houses)
프래터니티(남학생 단체)와 소라리티(여학생 단체)는 회원들끼리의 결속력이 매우 강한 학부 학생들의 친목 단체이며, 이들 단체는 별도의 기숙사를 운영합니다.
기혼 학생용 숙소(Married student housing)
일부 대학교들은 결혼한 학생들과 그 가족들을 위하여 아파트나 주택들을 소유하며 운영하고 있습니다. 결혼한 학생들은 이러한 주택이나 아파트에 빈자리가 있는지 최대한 빨리 문의해 보아야 합니다.
조합형 기숙사(Cooperative Residence Halls: "Co-Ops")
조합형 기숙사(co-op)는 대개 여러 명의 학생이 함께 기거하면서 비용과 집안일을 함께 분담하는 대형주택을 말합니다.
입주자들은 교대로 식사 준비를 하고, 청소와 건물 외관의 수리는 함께 공동으로 합니다.
비용이 저렴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조합형 기숙사의 방을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생활비
생활비는 학교보다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경우는 다른 지역에 비해 20~50% 정도의 생활비가
더 소요되며, 대도시가 아니라 하더라도 캠퍼스가 시내(Downtown)에 위치한 경우와 외곽지역, 농업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와
는 생활비가 상당히 차이 납니다. 즉 시내에 있는 경우에는 생활비가 비싼 편이지만 시골 지역에 있는 대학촌의 경우에는 아파트
방세와 물가도 싸고 돈 쓸 일도 별로 없기 때문에 생활비가 적게 듭니다. 생활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식
비와 집세인데 특히 집세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집세가 비싼 지역의 경우 기숙사가 있으면 기숙사에 들어가는 것이 생활비 절감 면에서 유리합니다. 다만 기숙사
시설이 없는 학교도 있고, 있더라도 신청자에 비해 시설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미리 서둘러서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동반 가족이 있는 경우, 배우자가 동행할 때에는 혼자일 때보다 약 2배의 생활비가 듭니다. 자녀들이 있을 경우에는 1명당 성인 생활비의 1/2 정도의 비용이 더 듭니다. 동반 가족이 있을 경우에는 기혼자 아파트(대개 일반 사설 아파트보다
상당히 저렴하다)를 제공하는 학교가 많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경우에도 기숙사와 마찬가지로 일찍 신청해야 입주할 수 있습니다.
학비
미국 대학들의 학비는 방학을 제외한 9개월간의 Tuition & Fees가 사립 대학의 경우 평균 $25,000 이상이며 주립대학은
평균 $13,000 정도가 소요됩니다. 일반적으로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해당 주의 거주자나 비거주자, 외국인 학생 간의 학비 차이가
없지만, 주립대학의 경우에는 유학생이나 타지역 주민(Non-resident)에 대하여는 Out-of-state(또는 Non-resident)
Tuition을 추가로 부과하고 있습니다.
여행보험 및 의료보험
한국에서 미국 대학에 도착할 때까지를 위한 여행보험을 가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울러, 미국 유학기간 중 의료 보험에도 가입해야 합니다. 한국에서 의료 보험(또는 유학생보험)에 가입해서 오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입학하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데 학교에서 제공하는 보험은 의료비에 대한 지원 외에는 보상받지 못하지만, 한국에서 가입한 유학생 보험은 기타 위험들까지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보험료는 일반적으로 학교 보험이 비싼 편이며 지정병원은 학교 보험의 경우 학교근처의 지정된 병원에서만 의료보험 의 혜택을 볼 수 있으나 유학생보험은 지정병원 없이 아무 병원에서 치료받더라도 관계없이 보상청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조비 지급 시점은 학교보험의 경우 치료시점에 직접 보조가 이루어져 편리하나 유학생보험은 먼저 자기 부담 하에 치료비 지급 후 병원 영수증을 첨부 보상 청구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화물 보험
수화물 보험은 수화물 분실, 파손 또는 도난 등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여행사 또는 항공사 사무소 등에서 수화물 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수화물을 분실했을 경우, 공항의 해당 항공사에 즉시 통보해야 합니다. 그 후 해당 항공사는 분실된 수화물을 찾아내고, 고객의 미국 내 주소로 보내줍니다.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도 찾지 못했다면, 분실물에 대한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재 및 기타 용품
미국의 대학들은 일 년 간 교재 및 기타 용품에 대한 소요 경비를 파악해서 제시합니다.
교재는 반드시 구입해야 하는데, 상당히 비싼 편입니다.
대부분의 대학 내 서점에서 새 책을 구입하거나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중고 책을 구입할 수 있고, 학기 말이 되면 구입한 책을 어느 정도 값을 받고 서점에 되팔 수도 있습니다. 교재 및 기타 용품 비용은 전공에 따라 다릅니다.
인문계열 : 연간 400 - 600달러의 교재비
공학계열 : 연간 650 - 950달러의 교재비
* 의학, 약학 그리고 법학 전공의 경우 훨씬 더 큰 비용이 듭니다.
교육과정
교육기관 유형
대학, 대학교 및 특화 교육 기관의 차이점
미국의 학위 수여 대학 교육기관은 위의 어떠한 용어로도 불릴 수 있으며, 대학(colleges) 및 특화 교육기관(Institutes)이라고 해도 일반 대학교(universities)보다 절대로 열등한 개념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대학(colleges)의 경우는 규모가 상대적으로 조금 작고, 학부 과정만 개설되어 있으며, 대학교(universities)의 경우 대학원 이상의 과정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특화 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 Institute의 경우 대개 전공 분야와 아주 밀접한 여러 분야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곳을 지칭하므로, 기술, 패션, 미술 및 디자인 분야의 경우 institute라고 이름이 붙은 교육기관에 개설된 학위 과정을 접하게 될 것입니다. 각 대학과 대학교 내에서 예술과학 대학 또는 경영대학과 같은 단과대학 개념의 school이라고 하는 용어를 접하게 될 텐데, 이들 개개의 school은 해당 전공 분야의 정규학위 과정을 담당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립대학교
주립대학교들은 미국 주정부에서 해당 주의 주민들에게 저렴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설립해서 보조하고 있습니다. 사립대학교와 구분 짓기 위해 공립대학교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일부 학교들은 학교 명칭에 “주립대학(state university)”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고 “동부” 또는 “서부”와 같은 지역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주립대학교들은 등록 학생 수가 2만 명이 넘는 대규모인 경우가 많고 사립대학교들보다 훨씬 다양한 학생들을 신입생으로 받아들입니다. 주립대학교의 학비는 일반적으로 사립대학교보다 저렴합니다. 아울러, 거주지 주민(자신이 거주하며 세금을 내는 주민들)의 경우, 해당 주립대학에서 다른 주 출신 학생들보다 일반적으로 저렴한 학비를 책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주 출신과 외국 학생들의 경우 타 주 출신 주민으로 분류되어 주립대학교에서 학비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그리고 외국학생들은 거주지 주민들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입학 자격요건에 부합해야 합니다.
사립대학교
사립대학교들은 기부금, 학비, 연구비, 동문 후원금으로 자금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주립대학교에 비해 학비가 비싼 편이지만, 학비로 주립대학과 사립대학을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종교단체를 기반으로 하는 대학과 단일 성별로 구성된 대학이 사립대학들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립대학교(private universities)는 등록 학생 수가 2만 명 미만이며, 사립대학(private colleges)의 경우 2천 명 미만일 수 도 있습니다.
지역 대학
지역 대학교(Community colleges)에는 훌륭한 직업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인문계 준 학사에 해당하는 A.A.(교양과정을 마친 학생에게 부여)와 자연계 준 학사에 해당하는 A.S.(제도나 자동차 역학 등 실용기술과목을 전공한 학생에게 부여)학위 과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2년제 대학교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기관으로, 고등학교, 지역단체 및 지역 내 여러 사업체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지역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상당수가 가족과 함께 학교 근처에 거주합니다. 이들 대학교는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초급대학(junior college) 또는 2년제 대학교(two-year college)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지역대학에서 공부하는 외국 유학생들이 증가 추세에 있는데, 학비가 일반 4년제 대학들에 비교해 저렴하고, 학생들이 편입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주의 주립대학 학부 3학년 과정으로 쉽게 진학할 수 있도록 협정을 맺고 있기 때문입니다.
직업 기술 대학교
실제 직업 현장으로 진출하거나 승진을 도모하기 위한 전문 교육기관입니다. 여기서는 각종 기술력을 기반으로 일하는 방법은 물론, 특정 직업이나 기술 관련 이론을 교육하는 자격증 및 기타 단기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학위 과정
미국의 학사학위 과정
미국 내 학사학위 과정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는 바로 상당히 유동적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과정에 대한 선택권이 있으며, 자기 자신만의 학위 과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정해진 일정 과목을 이수하고 나면 학위가 수여 되며, 일반적으로 학업에만 전념할 경우 4년이면 학사학위 과정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대학의 첫 일 년 과정을 freshman year, 2학년 과정은 sophomore, 그리고 3, 4학년은 junior, senior라고 부릅니다.
미국학생들은 종종 학사과정 이수에 4년 이상을 소비하는데, 이는 중간에 전공 변경으로 새로운 전공 분야의 추가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경우이거나, 개인적 사정, 학업 수행능력 또는 재정적인 이유 등으로 인해 학기당 적은 수의 과목을 수강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외국 유학생들의 경우 위와 같이 part-time 과정으로 학업을 할 수 없으며 반드시 학업에만 전념해야 하는 full-time 과정 학생 신분을 유지해야 합니다.
1~2학년에서 이수한 과정은 하위 과정이라 하고, 3~4학년에서 이수한 과정은 상위과정이라 부릅니다.
석사학위
석사학위 과정은 학사학위 과정을 훨씬 뛰어넘어 학생의 전공학문 분야에 대한 추가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석사 학위는 여러 학문 분야에 개설되는데, 크게 일반 학문 분야와 전문직업 분야 학위 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 학문 분야 석사
인문계 석사학위인 M.A.와 자연계 석사학위인 M.S.는 전통적인 인문학, 자연과학 및 인문과학 분야에서 수여합니다. 자연계 석사학위 M.S.는 공학 및 농업과 같은 기술 분야에서 수여 하기도 합니다. 독창적인 연구, 연구 방법, 현장 조사가 강조됩니다. 이들 과정은 대개 30에서 60학점을 취득해야 하며 full-time 학생의 경우, 1-2년 안에 학위를 마칠 수 있습니다. 석사학위 과정이 바로 박사 과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주요 차이점" 참조)
전문직업 분야 석사
학생의 학위를 바탕으로 특정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흔히 "최종" 석사과정으로 불리는데, 박사과정으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석사학위는 경영학 석사 (M.B.A.), 사회복지 석사(M.S.W.), 교육학 석사(M.Ed.), 예술학 석사(M.F.A.)와 같이 특정 분야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표시됩니다. 기타 전문직업 분야 석사학위로는 신문 방송학, 국제 관계학, 건축학과 도시 계획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직업 분야 석사과정은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전공지식을 직접 실전에 적용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 학문 석사학위 과정보다 더 정형화된 과정이며 모든 학생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과목을 수강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위 이수에는 교육기관 및 전공 분야에 따라 1년에서 3년 정도가 소요됩니다. 전문직업 분야 석사학위 과정에서 총 36에서 48학점을 이수해야 하며(full-time 학생의 경우 1~2년 정도), 보통 석사학위 논문은 요구되지 않습니다.
주요한 차이점
석사학위 과정 간의 한 가지 차이점이라면, 박사학위 과정 진학을 염두하고 있는 학생을 위하는 과정인가 아닌가에 있습니다. 박사학위과정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는 최종 석사학위 과정이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의 전문직업 분야 석사학위가 여기에 속합니다. 이러한 최종 석사학위 과정에서 취득한 학점들은 나중에 박사과정으로 진학을 결정했을 때 인정받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일정한 수준의 과정을 이수하고 박사과정으로 진학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최종 석사학위를 수여 하기도 하지만, 일부 대학교는 박사과정으로 진학할 가능성이 많은 학생만 특정 분야 석사과정으로 입학시키기도 합니다. 다른 학과들의 경우, 박사과정 입학 조건으로 석사학위를 요구합니다. 입학 방침은 학교마다 그리고 학교 내 학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직접 개별 대학원 학과로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에 대한 입학허가 및 운영방침을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박사학위
박사과정은 연구학자로 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대부분의 경우 나중에 대학의 교수의 길을 걷게 됩니다. 박사학위 취득은 학생이 해당 전공학문에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연구자로서 자격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박사학위에서, Ph. D.(철학박사)는 일반적인 학문 분야에서 가장 흔히 수여되는 학위입니다. 교육학 박사인 Ed. D, 경영학 박사인 D.B.A.와 같이 전문분야에 따라 다른 명칭의 박사학위가 수여됩니다. 박사과정은 정해진 학과목 이수, 세미나 및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완성되는 학생의 독창적인 연구를 다룬 박사학위 논문 작성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종합시험은 대개 3년 내지 5년간의 규정된 과목들을 이수한 후 치르게 되는데, 학생과 지도교수 간에 준비가 되었다는 합의하에 이뤄집니다. 이 시험은 박사과정에서 들은 과목들과 독립연구 등에서 쌓은 지식을 독창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종합시험을 치르는 학생은 선택한 분야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하고 있음을 보여줘야 합니다. 종합시험에 합격하면 과목 이수는 끝나게 되고, 박사학위 논문에 집중하게 됩니다. 박사학위는 우수한 연구를 하고, 해당 연구를 설명하는 박사학위 논문을 작성한 후, 해당 분야를 전공한 교수들 앞에서 자신의 연구를 성공적으로 발표한 학생에게 수여 됩니다. 이러한 연구 및 논문작성에 2, 3년이 추가로 소요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박사학위를 취득하려면, 분야에 따라 학부 졸업 이후 5년에서 8년 사이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는 위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다양한 박사학위 과정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이들 과정은 기존의 박사과정 입학과 다른 조건들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 입학을 계획하고 있다면, 입학 자격 요건 및 박사학위 취득에 필요한 요건이 무엇인가를 미리 잘 파악해두어야 합니다. 대학 요람 및 웹사이트 또는 개별 학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구할 수 있습니다.
학생비자
비자 종류
미국 시민권자가 아닌 사람이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원하는 경우 F-1( 학생비자 ), J-1( 교류 방문 비자 ), M-1 비자가 필요합니다.
학생 비자 (F-1)
학생 비자는 미국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가장 일반적인 비자입니다 . 이것은 인가된 미국 대학에서 공부하거나, 대학이나 집중 영어 프로그램 기관에서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교류 방문 비자 (J-1)
교류 방문 비자는 미국에서 방문 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J” 비자는 교육적 또는 문화적 프로그램에 적용됩니다.
M-1 비자
이 비자는 미국에 있는 기관에서 비학문적 또는 직업 연구 또는 훈련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비자 신청
1. 미국 대학으로부터 입학허가서를 받는다.
미영사관에 비자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국 대학이나 국무부에서 지정하는 후원 기관에서 발행한 SEVIS (Student and Exchange Visitor Information System)- 입학 허가서 (I-20 또는 DS-2019) 를 제출해야 합니다. 미국 대학이나 프로그램 후원자는 지원자의 대학 입학이 허가되었을 때나 교류 프로그램의 참가자로서 받아들여졌을 때 SEVIS 관련 서류를 발행합니다. 학교나 프로그램 후원자는 비자 신청에 필요한 추가 서류 뿐 아니라 미국에서 시작하는 학업 프로그램에 관한 안내서도 보내줍니다.
2. 비자 신청비와 SEVIS 비용을 지불한다.
비용 지불 웹사이트 : www.fmjfee.com
3. 비자 신청 구비서류를 준비한다.
방문 교환 비자뿐 아니라 여러 형태의 학생 비자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과정과 조건은 정해져 있습니다. 한국에서 학생 비자나 방문 교류 비자 신청에 필요한 자료와 과정은 주한 미국대사관 영사과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사항을 볼 수 있습니다.
4. 비자 인터뷰 예약
예약 사이트 : www.us-visaservices.com 전화 예약 ( 유료 ): 전화번호, 00308-131-420 (08:30~17:00)
5. 비자 인터뷰
인터뷰를 하러 갈 때에는 필요한 모든 서류를 함께 갖고 갈 것을 권장합니다. · 유효한 여권(코스가 끝난 후 6개월 동안 유효해야 함) · Form I-20 · I-901 수수료 영수증 · DS-160 수수료 영수증 · 학비와 생활비 충당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장학금 수혜 증명서, 본인/부모/보호자의 은행 잔고 등) · 본인의 여권 사진(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몇 장 가지고 있으면 좋습니다.) · 자신이 입학 허가를 받은 대학의 입학 통지서 · 학업 성적 증명서 · 점수가 표기된 성적 증명서와 어학 시험 성적 증명서 인터뷰에서 미국 유학 계획에 대한 몇 가지 간단한 질문을 받게 될 텐데요. 솔직하게 답변하세요. 미국 유학의 이민적인 부분보다는 교육적 이득에 초점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그 자리에서 미국 비자의 발급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어학연수
어학연수 프로그램
미국 내에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영어 어학연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Intensive English Programs (IEPs)
주당 20~30시간 수업을 하는 집중 어학연수 과정입니다. 강의, 소그룹 토론, 어학 연습실과 교실 밖에서 진행되는 수업 등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집중 어학연수 프로그램에서 제 2 언어로서의 영어, 즉 ESL 과정 이외의 정규 대학 교과목의 수강 허용 여부는 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집중 어학연수 프로그램은 대학진학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미국 내 대학 입학을 고려하고 있는 외국 유학생들을 준비시키는 과정입니다.
Semi-intensive English Programs
집중 어학연수 과정인 IEP와 마찬가지로, 강의, 소그룹 토론, 어학 연습실과 교실 밖에서 진행되는 수업 등으로 진행되지만, 영어 이외의 과목을 연수 과정의 일환으로 수강하게 된다는 점이 다릅니다. 토플 점수가 대학 입학에는 충분하지만 학교 측에서 그 이상의 어학 실력을 원하는 경우 이러한 ESL 과정을 수강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Professional English Programs
사설 영어프로그램이나 일부 대학 부설 어학연수 기관에서 전문분야에서 필요한 영어 실력을 위해 이러한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영어 또는 법, 공학, 교육, 의학, 건축, 컴퓨터, 항공, 고객 응대 관리, 여행과 같은 분야의 특별 자격증 과정이 이 과정에 포함됩니다. 미국 내 기업들과 연계된 인턴십 과정을 일부 사립과 대학교 부설 어학연수 프로그램에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대학입학 준비를 위한 어학연수 프로그램 입학
대학 부설 어학연수 과정 입학이 대학 내 기타 정규 학위 과정 등의 입학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미국 교육기관은 학문 또는 해당 전문 분야 소양과 자질은 충분하지만, 영어 실력이 부족한 경우에 조건부 입학을 허용하기도 합니다. 즉, 학문적 자질 또는 전공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 등을 토대로 입학 허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정규학위 과정에 등록하기 전에, 추가로 영어 어학연수 과정을 이수하거나 영어 실력을 가늠할 수 있는 표준 시험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점수를 취득, 제출해야 합니다. 본인의 상황이 이에 해당하면, 미국 대학에서 받은 편지 또는 기타 문서들을 잘 살펴보고 입학 조건이 정확히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질문이 있을 경우 직접 연락해야 합니다. 일부 대학은 아무런 조건 없이 외국 학생들에게 입학 허가를 내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학교에 도착한 이후 영어 실력을 평가하는 시험을 반드시 치르도록 요구하기도 합니다. 영어시험 평가 결과에 따라, 정규학위 과정으로 바로 입학을 하거나, 정규학위 과정을 들으면서 추가로 어학연수 과정을 이수하기도 하고, 또는 정규학위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어학연수 과정을 이수하게 됩니다. 일부 대학에서는, 추가로 수강하게 되는 어학연수 과정이 학점으로 인정되어 졸업에 필요한 이수 학점 중 일부를 취득한 것으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다른 대학에서는 추가 어학연수 과정이 집중 어학연수 프로그램인 IEP로 대체되어 학점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와 학점을 받기는 하지만, 졸업에 필요한 이수학점으로 간주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학연수 자격 기준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지원하기 전에, 해당 어학연수 기관이 최소한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반드시 파악해야 합니다. 미국 내 교육 기관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설립되고 운영되고 있는가를 확인 받는 인가제도 과정을 거칩니다. 미국에는 교육 훈련 인가위원회(ACCET)와 영어 어학연수 프로그램 인가위원회(CEA) 두 개의 인가기관이 있습니다. 연수를 고려중인 어학연수 기관이 위 두 인가기관으로부터 인가를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모든 어학연수 기관의 자격기준을 마련하고 적용하고 있는 UCIEP(대학부설 집중 어학연수 프로그램 컨소시엄) 또는 AAIEP(집중어학연수 프로그램 전미협회)의 소속기관인지 문의해야 합니다. 아울러, 어학연수 기관의 강사들의 전공학위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해당 기관의 프로그램 안내책자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서 강사들이 어떤 학위를 취득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ESL 또는 응용언어학분야 학위를 취득한 강사들이 있는 어학연수 기관을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어학연수 기관의 강사들이 국제교육자 협회인 NAFSA 또는 외국인을 위한 영어교육자들의 모임인 TESOL 소속인지를 문의해야 합니다.
주요대학
-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http://www.mit.edu/]
-
- 위치: 77 Massachusetts Avenue Cambridge, MA United States
- 운영형태: 사립
- 설립년도: 1861년
- 학생수: 11,254명
- 학비: 학부 - 55,510 USD / 대학원 - 55,510 USD
- 대학순위: 1위
-
- Stanford Univ. [http://www.stanford.edu]
-
- 위치: 450 Serra Mall, Stanford, CA United States
- 운영형태: 사립
- 설립년도: 1891년
- 학생수: 15,961명
- 학비: 학부 - 55,473 USD / 대학원 - 41,910 USD
- 대학순위: 3위
-
- Harvard University [http://www.harvard.edu]
-
- 위치: 1350 Massachusetts Ave Cambridge MA United States
- 운영형태: 사립
- 설립년도: 1636년
- 학생수: 20,970명
- 학비: 학부 - 54,768 USD / 대학원 - 52,468 USD
- 대학순위: 5위
-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ttp://www.caltech.edu]
-
- 위치: 1200 East California Boulevard Pasadena, CA 91125. United States
- 운영형태: 사립
- 설립년도: 1891년
- 학생수: 2,240명
- 학비: 학부 - 56,360 USD / 대학원 - 56,360 USD
- 대학순위: 6위
-
- Univ. of Chicago [http://www.uchicago.edu/]
-
- 위치: The University of Chicago 5801 South Ellis AvenueChicago, Illinois 60637 United States
- 운영형태: 사립
- 설립년도: 1890년
- 학생수: 17,170명
- 학비: 학부 - 59,262 USD / 대학원 - 69,600 USD
- 대학순위: 10위
- 관련사이트
- 주한미국대사관[http://kr.usembassy.gov/ko/] 학부과정, 대학원과정, 학교찾기, 단기유학, 특수전문과정, 출국전정보, 미국생활 등 유학 관련 정보 제공(한국어 지원)
- 한미교육위원단[http://www.fulbright.or.kr/] fulbright장학금 소개, 미국대학입학정보, 교육안내, 입학지원절차, 필요시험, 유학필요시험, 일년평균비용, 비자, 미국대학인가, 출국전준비, 미국생활 정보 제공(한국어 지원)